듀얼모니터 설치 및 설정하기
- 일상
- 2018. 10. 9. 01:37
보통 사무실에 모니터가 두 대 이상 나란히 설치된 것을 자주 볼 수 있습니다. 교수님들의 연구실이나 일반 직장인들뿐만아니라 여러 가지 필요 때문에 많이 설치하여 이용합니다.
PC 모니터를 2개 설치하면 어떤 점에서 좋을까요? 한쪽 모니터로 웹서핑이나 온라인 쇼핑을 즐기면서 동시에 다른 쪽 모니터로 TV나 유튜브 등을 보는 것을 상상해 보면 너무 편리할 것 같습니다. 아니면 이미지를 편집하는 분들은 2개의 모니터에 여러 가지의 사진을 펼쳐 놓고 작업을 하면 능률이 오를 것입니다. 논문을 준비하는 때도 참고자료를 한쪽 모니터에 띄우고 다른 쪽 모니터로 타이핑 작업을 하면 좋을 것입니다.
이처럼 모니터를 2개 이상 설치하면 PC 작업을 더욱더 효율적으로 할 수 있습니다. 이번 포스팅은 모니터를 추가로 설치하는 방법과 설정하는 방법을 다루어 보겠습니다.
기본으로 사용하는 모니터가 있다면 안 쓰는 모니터를 추가하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새로 모니터를 구입할 경우 새 모니터를 기본작업 모니터로 하고 기존의 모니터를 보조 모니터로 설치하는 것이 좋을 것입니다. 필자도 새 모니터를 기본 모니터로 설정하고 기존의 오래된 모니터를 보조 모니터로 설치했습니다. 그럼 듀얼모니터 설치 및 설정을 해보기로 합니다.
듀얼모니터 설치하기
컴퓨터(그래픽카드) 소캣과 케이블의 종류
Display Port 디스플레이 포트 일명 DP라고도 불립니다. 이는 영상신화와 음성신호가 동시에 출력된다는 점에서 HDMI와 같습니다. 생긴 것도 비슷합니다만 분명한 차이점이 있습니다. 이것은 고가의 그래픽카드에서 1개 또는 2개의 포트를 지원하고 있습니다. HDMI는 버전이 상승할수록 4k 60프레임 지원을 하는 특징이 있는 반면에 디스플레이 포트는 케이블 버전에 따른 차이가 없습니다. HDMI에 보다 상당히 높은 대역폭을 가지고 있어 하나의 케이블로 여러 대의 모니터를 연결할 수 있습니다. 보통은 고사양의 모니터와 게임용으로 쓰이고 있지만, HDMI와 비교해 대중적이지 못합니다.
보통은 케이블은 모니터에 꽂는 부분과 컴퓨터 본체에 꽂는 부분이 똑같습니다. 그러나 컴퓨터 본체가 모니터의 케이블 방식과 맞지 않는 경우가 있어 이때는 변환 젠더를 끼우고 설치하면 됩니다.
컴퓨터와 모니터 연결하기
이제 모니터에 케이블을 연결하고 컴퓨터 본체에도 연결을 해야 합니다. 하지만 어디에 꽂아야 하는지 난감합니다. 아래 사진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위의 사진은 컴퓨터 본체 뒷면입니다. 각종 연결 단자가 많습니다. 위 사진상으로 모니터 연결 단자는 모두 5개가 있습니다. 세로로 된 위쪽의 검정색 부분은 HDMI단자와 디스플레이포트 단자가 있습니다. 밑부분 파란색 원부분에 DVI, HDMI, D-sub 방식 3가지의 단자가 있습니다.
그런데 HDMI단자가 다른 위치에도 있어 모두 2개입니다. 그 이유는 위쪽 검은색 부분은 메인보드에 내장된 그래픽카드를 사용하고 있어 기본적으로 제공되는 것입니다. 그리고 파란색 원 부분은 외장 그래픽카드를 추가로 설치한 것입니다. 이것을 추가로 설치하는 이유는 메인보드에서 제공되는 그래픽카드로도 충분히 웹서핑이나 워드작업, 동영상을 무리 없이 실행시킬 수 있습니다. 하지만 고사양의 게임이나 그래픽작업 등을 하기에는 능력치가 부족하여 추가로 외장 그래픽카드를 설치한 것입니다.
만약 위 같은 경우 파란색 원 부분의 단자에 연결하여야 합니다. DVI, HDMI, D-sub 방식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연결할 모니터에 맞는 케이블을 연결하도록 합니다.
우리는 듀얼모니터를 설치를 하려고 합니다. 먼저 하나의 모니터를 외장 그래픽카드에 꽂았습니다. 또 하나의 모니터를 외장 그래픽카드에 꽂아야 하는데, 만약 단자가 부족하다면 변환 젠더를 구입하여 꽂아야 할 것입니다. 메인보드에 달린 단자에 꽂을 수도 있지만 잦은 오류와 화면이 출력이 안 되는 문제점이 있어 이곳에는 꽂지 않도록 합니다. 또 외장그래픽카드가 설치되지 않았다면 위의 메인보드 연결 단자에 연결하면 될 것입니다.
필자의 듀얼모니터입니다. 왼쪽이 기본 모니터고 오른쪽이 보조 모니터입니다. 보조모니터가 딱 봐도 2000년대 구형 모니터입니다. 그럼 이런 방식으로 설치됐습니다. 이제 설정을 할 차례입니다.
듀얼모니터 설정하기
위의 사진에서 1과 2가 나타납니다. 이는 두 개의 모니터가 식별됐다는 뜻입니다. 그러나 처음 설치를 하면 하나만 나타나는 경우가 있습니다. 그럴 때는 식별을 클릭하면 위와 같이 2개의 화면이 식별됩니다. 위의 1과 2 화면을 마우스로 이리저리 움직일 수 있습니다. 작업 환경에 맞게 조절하면 됩니다. 그리고 해상도 설정인데 이것도 나의 작업 환경에 맞게 조절하시면 될 것입니다. 윈도우10은 자동으로 설정되기 때문에 따로 조절할 필요가 없을 것입니다.
위에서 설명드린 것은 윈도우10을 기준으로 한 것이기에 윈도우8이나 윈도우7을 사용하시는 분들은 생소하게 보일 것입니다. 하지만 설정하는 것은 대동소이하기에 나오는 화면만 다를 뿐 설정하는 것은 똑같습니다.
이제 설정을 모두 마쳤습니다. 인터넷 창을 켜보시고 두 개의 모니터에 마우스로 이리저리 끌어 보세요. 얼마든지 이동할 수 있습니다. 편리한 컴퓨터 작업환경을 만들어 보세요.
'일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병영 간식 - 건빵 맛탕이 그리워 집니다 (0) | 2018.12.17 |
---|---|
윈도우10에서 간단한 그래픽카드확인방법 (0) | 2018.10.12 |
lg폰 자판 사용방법 (0) | 2018.10.08 |
플레이스테이션 클래식, 10만원짜리 플스1 발표 (0) | 2018.09.21 |
컴퓨터화면캡쳐 2가지 간단한 방법 (0) | 2018.09.08 |
이 글을 공유하기